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월세 100만 원, 200만 원, 300만원, 우리 가족은 어디까지 살 수 있을까?

by 륜주부 2025. 7. 1.
반응형

 

월세 100만 원, 200만 원, 300만 원

우리 가족은 어디까지 살 수 있을까?

(서울·수도권 3~4인 가구 기준)

최근 전세대출 규제 강화와 전세 매물 감소로 인해, 월세로 방향을 트는 가구들이 많아졌습니다.
특히 3~4인 가족이라면 단순한 주거공간을 넘어서, 아이 교육, 출퇴근, 생활 편의성까지 고려한 주택 선택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월세 100만 원, 200만 원, 300만 원일 때, 서울과 수도권에서는 어떤 조건의 집에서 살 수 있을까요?
실제 시장 사례와 함께 구체적으로 비교해봤습니다.


기준 설정

  • 대상: 성인 2명 + 자녀 2인 (4인 가구)
  • 주거 형태: 아파트 또는 준신축 오피스텔 (빌라 제외)
  • 보증금: 최대 2억 원 가정
  • 지역 범위: 서울 전역 및 수도권 핵심 지역

월세 100만 원 – 입지는 양보, 실거주는 가능

월세 100만 원은 가족 단위 실거주로는 다소 제약이 있습니다.
하지만 입지를 조금 양보하면 서울에서도 기본적인 생활이 가능한 곳들이 있습니다.

서울

  • 동대문구 이문·휘경, 성북구 장위, 중랑구 면목 일대
  • 20년 이상 된 구축 아파트, 전용 20~23평형
  • 보증금 5천만 원 ~ 1억 원 + 월세 90~100만 원

수도권

  • 광명, 안양, 의정부, 부천 등 서울 인접 지역
  • 오래된 소형 아파트 또는 신축 빌라형 주택

장점

  • 학교와 시장 등 기본 인프라는 접근 가능
  • 대중교통(지하철 1·6·7호선) 중심 지역 위주

단점

  • 엘리베이터나 지하주차장이 없는 경우 많음
  • 커뮤니티 시설 부족, 주차 협소

월세 200만 원 – 입지·편의성 균형형

월세 200만 원이면 서울에서도 준신축 아파트나 중상위 입지의 실거주형 주택이 가능합니다.

서울

  • 성동구 금호·옥수, 노원구 중계동, 마포구 상암동 오피스텔
  • 전용 24평형, 15년차 아파트
  • 보증금 1억 원 + 월세 180~200만 원

수도권

  • 위례신도시, 하남 미사, 동탄2, 고양 킨텍스
  • 대단지 신축 아파트, 자차 출퇴근 양호

장점

  • 초등~중학교 학군 안정적, 대형 마트 및 병원 인근
  • 브랜드 아파트 진입 가능

단점

  • 인기 지역은 매물 경쟁 치열, 30평형 이상은 어려움

월세 300만 원 – 프리미엄 실거주 가능

월세 300만 원이면 서울 주요 핵심지, 심지어 강남권에서도 고급 실거주가 가능한 수준입니다.

서울

  • 송파 헬리오시티, 고덕 래미안, 마포 한강변 단지
  • 전용 30~34평형, 신축 또는 고급 오피스텔
  • 보증금 1.5억+300만 원

수도권

  • 판교, 분당, 과천, 위례 북위례 등
  • 강남 출퇴근 30분 내외, 학군 최상급 지역

장점

  • 학군, 커뮤니티, 출퇴근 모두 갖춘 주거지
  • 고급 커뮤니티 시설(헬스장, 어린이집 등) 완비

단점

  • 초기 목돈 필요, 일부는 렌트비 부담 큼

가격대별 비교 요약

구분 월세 100만 원 월세 200만 원 월세 300만 원

서울 가능 지역 중랑·성북·동대문 성동·노원·마포 강남·송파·용산
수도권 가능 지역 광명·안양·의정부 위례·동탄·하남 판교·과천·분당
평형 20~23평 24~29평 30~34평 이상
커뮤니티 시설 제한적 보통 수준 우수
학군 접근성 기초 수준 안정권 최상급
주차 환경 협소하거나 미비 가능 넉넉함

마무리 정리

요즘 같은 시장에서는 무작정 전세를 기다리기보단
현실적인 월세 선택과 입지 분석이 더 중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가족의 라이프스타일과 우선순위에 맞는 선택이 필요하며,
비용 외에도 주차, 학군, 커뮤니티, 계약 조건 등 세부 사항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