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대출금리 기준 (고정/변동) and 가산금리, 대출은 고정? 변동?

by 륜주부 2023. 11. 21.
반응형

안녕하세요!! 륜주부 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올리네요^^ 오늘은 대출금리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출금리에 대해서 수많은 기준들이 있고 그 기준들을 다 공부하기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닌데요 ㅠㅠ

오늘은 금리 기준의 근본이 되는 것만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적어도 부동산 대출금리에 대해서는

다른 글을 안보셔도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 대출금리 종류

  - 고정금리 : 고정금리는 상품에 가입한 기간 동안 시중금리 변동에 관계없이 이자율 변동 없음

  - 변동금리 : 변동금리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변동되는 것에 기간을 (ex. 6개월, 12개월) 두고 이자율 변동 있음

 

2) 고정/대출금리의 기준 금리

  - 고정금리 : 금융채 5년물

  - 변동금리 : 코픽스 기준금리

 

3) 대출금리 산정

  - 고정금리 : 금융채 5년물 금리 + 가산금리

  - 변동금리 : 코픽스 기준금리 + 가산금리

 

4) 가산금리란??

   - 개인 또는 법인의 신용도 등에 따라서 덧붙이는 금리를 이야기합니다. 

     일반적으로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가 높습니다.

 

 

자!! 그럼 언제 고정금리를 선택하고 언제 변동금리를 선택해야 하는가?? 에 대한 질문에 대한 답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변동금리는 단기 / 고정금리는 장기]에 쓰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대출기간이 너무 짧다면 기간에 맞춰서 이익이 되는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들면, 2년이내에 대출을 받는다면 변동이던 고정이던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으시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 부동산 대출을 받게 된다면 30년 전후의 장기 대출을 받게 되실 가능성이 높으니, 

현재와 같이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경우에는 고정으로 대출을 받고, 나중에 금리가 내려가면 갈아타는 방법을 고민해 보는 것이

최적의 솔루션이라고 생각합니다.

 

자 오늘은 고정금리/변동금리에 대해서 핵심만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오늘 하루도 성투하세요!!

 

 

 

반응형

댓글